본문 바로가기

kwakmu18

(13)
Computer Science :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는 각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부품들(CPU, GPU, 저장장치 등)의 도움으로 작동합니다. 각 부품들은 특징이 뚜렷하여 컴퓨터에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서로 다른 부품들이 모여서 컴퓨터라는 하나의 기계로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은, 컴퓨터에 대한 기본 설계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설계를 컴퓨터 구조(Computer Architecture)라고 부릅니다. 컴퓨터 구조 중에서 특히 CPU가 사용하는 명령어와 관련된 설계를 명령어 집합구조(Instruction Set Architecture)라고 합니다. 널리 사용되는 ISA 중 하나가 인텔의 x86-64 아키텍처입니다. 컴퓨터 구조와 명령어 집합 구조 컴퓨터 구조(Computer Architecture)란 컴퓨터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
자료구조 - 큐 큐(Queue)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의 자료구조이다. C++에서는 queue 라는 헤더 파일을 제공한다. #include #include queue 헤더 파일 include using namespace std; queue q; int형 queue 선언 q.push(1); q.push(3); q.push(5); queue 에 데이터 추가 q.pop(); queue에서 데이터 제거, 이때 가장 앞의 데이터인 1이 제거됨 q.size(); queue의 크기 q.empty(); queue가 비어있으면 true, 그렇지 않다면 false 반환 q.front(); queue의 가장 첫번째 데이터 q.back(); queue의 가장 마지막 데이터
Bandit Level 33 → Level 34 (完) At this moment, level 34 does not exist yet. 솔직히 이 말 보고 구라일 줄 알고 막 고민하다가... 인터넷 찾아보니까 진짜 아직 없다는 걸 알았다. 무엇보다도 bandit_pass 디렉터리 안에 bandit34 파일이 없다. 즉 아직 없다는 얘기... 아무튼 여기서 bandit wargame은 일단 마무리!
Bandit Level 32 → Level 33 After all this git stuff its time for another escape. Good luck! ? 갑자기 무슨 말이지 일단 처음에 접속해 보면 UPPERCASE SHELL 이라며 소문자로 쳐도 대문자로 인식을 한다. 옆에 나오는 sh를 보아 sh 쉘이고, sh 쉘에서는 $0 을 입력하면 배쉬 쉘로 접속할 수 있다고 한다. $0을 입력하고 whoami를 해보니 bandit33으로 나온다. 그렇다면 또 그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알아낸다.
Bandit Level 31 → Level 32 There is a git repository at ssh://bandit31-git@localhost/home/bandit31-git/repo. The password for the user bandit31-git is the same as for the user bandit31. Clone the repository and find the password for the next level. 또...? ㅋㅋㅋㅋㅋㅋ 뭔가 이대로 끝까지 갈 것 같은 느낌,,, clone 해 주고 README.md를 열어보면 이번에는 원격 리포지토리에 push 하라고 한다. 해도 되는건가? 하란 대로 key.txt 파일을 만들고 내용은 May I come in? 으로 해준 후, add 하고 commit 한다음 push 해준..
Bandit Level 30 → Level 31 There is a git repository at ssh://bandit30-git@localhost/home/bandit30-git/repo. The password for the user bandit30-git is the same as for the user bandit30. Clone the repository and find the password for the next level. 역시 같은 문제다. 이건 뭐 로그도 없고 브랜치도 없고.. 어떡하라는거지? 유닉스 리눅스 명령어 사전 을 둘러보던 도중 git tag 라는것이 눈에 들어와 실행해 봤는데 딱봐도 수상해 보이는게 하나 나왔다. git show를 통해 태그 메시지와 커밋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해봤더니 그냥 비밀번호가 나와버렸다.
Bandit Level 29 → Level 30 There is a git repository at ssh://bandit29-git@localhost/home/bandit29-git/repo. The password for the user bandit29-git is the same as for the user bandit29. Clone the repository and find the password for the next level. 또 같은 내용이다. 한번 더 clone해 준다. README.md를 열어주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git log를 해보니 두번의 커밋이 있어 차이를 봤더니 계정명이 bandit29에서 bandit30으로 바뀌었다. 여기선 별다른 힌트가 없다. git log 옵션 중에 all이라는 옵션이 있어 혹시나 해서 해..
Bandit Level 29 → Level 30 There is a git repository at ssh://bandit29-git@localhost/home/bandit29-git/repo. The password for the user bandit29-git is the same as for the user bandit29. Clone the repository and find the password for the next level. 또 같은 내용이다. 한번 더 clone해 준다. README.md를 열어주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git log를 해보니 두번의 커밋이 있어 차이를 봤더니 계정명이 bandit29에서 bandit30으로 바뀌었다. 여기선 별다른 힌트가 없다. git log 옵션 중에 all이라는 옵션이 있어 혹시나 해서 해..